대학게시판|새소식
번호 |
제목 |
작성자 |
조회수 |
등록일 |
222
|
옥용식 교수,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HCR)' 세계 최초로 환경생태학, 공학, 생물학 및 생화학 3대 학문 분야 동시 선정
|
생명과학대학 |
534 |
2023.01.02 |
221
|
고영규 교수(생명과학부), 간재생 동안 PROM1의 중심적 역할 규명
|
생명과학대학 |
162 |
2022.12.27 |
220
|
고영규 교수(생명과학부), PROM1이 간경화를 억제시키는 분자적 기전을 규명
|
생명과학대학 |
105 |
2022.12.27 |
219
|
손홍석 교수(식품공학과), 최우수 젊은과학자 Y-KAST 회원 선출돼
|
서미영 |
171 |
2022.12.16 |
218
|
2022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연구자 6인 선정
|
생명과학대학 |
181 |
2022.12.08 |
217
|
송권화 교수(생명공학부), [2022년 보건의료기술진흥 유공자 정부포상]에서 장관표창 수상
|
행정실 |
113 |
2022.12.07 |
216
|
송권화 교수(생명공학부), 멜라토닌의 미토콘드리아 기능 및 운반 RNA 소편 조절을 통한 자궁내막증 발달 억제기전 규명
|
행정실 |
228 |
2022.11.22 |
215
|
생명과학과 안지훈교수·환경생태공학부 이우균교수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선정돼
|
생명과학대학 |
149 |
2022.11.22 |
214
|
대학원 생명과학과 김보경 졸업생 AsCA poster award 수상
|
생명과학대학 |
229 |
2022.11.11 |
213
|
제22회 생명공학경시대회(한국화학공학회), 생명과학부 안민, 권지호 학생 동상 수상
|
생명과학대학 |
178 |
2022.11.08 |
-
생명과학대학2023.01.02
옥용식 교수,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HCR)' 세계 최초로 환경생태학, 공학, 생물학 및 생화학 3대 학문 분야 동시 선정
-
생명과학대학2022.12.27
고영규 교수(생명과학부), 간재생 동안 PROM1의 중심적 역할 규명
-
생명과학대학2022.12.27
고영규 교수(생명과학부), PROM1이 간경화를 억제시키는 분자적 기전을 규명
-
서미영2022.12.16
손홍석 교수(식품공학과), 최우수 젊은과학자 Y-KAST 회원 선출돼
-
생명과학대학2022.12.08
2022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연구자 6인 선정
-
행정실2022.12.07
송권화 교수(생명공학부), [2022년 보건의료기술진흥 유공자 정부포상]에서 장관표창 수상
-
행정실2022.11.22
송권화 교수(생명공학부), 멜라토닌의 미토콘드리아 기능 및 운반 RNA 소편 조절을 통한 자궁내막증 발달 억제기전 규명
-
생명과학대학2022.11.22
생명과학과 안지훈교수·환경생태공학부 이우균교수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선정돼
-
생명과학대학2022.11.11
대학원 생명과학과 김보경 졸업생 AsCA poster award 수상
-
생명과학대학2022.11.08
제22회 생명공학경시대회(한국화학공학회), 생명과학부 안민, 권지호 학생 동상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