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QUICK MENU
  • 사이트맵
  • 찾아오시는길
  • 고려대학교
  • 도서관
  • 교육정보
  • SSC
  • KUPID
  • English

Highlight

2025.07.10 제31회 오뚜기 함태호 학술상 수상, 고려대 식품공학과 한재준 교수
제31회 오뚜기 함태호 학술상 수상자에 ‘고려대 한재준 교수’ https://www.thinkfood.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008 상패·상금 3000만 원 수여…식품 가공 기술 연구 및 포장 분야 산학연 연계 공로 '2025 한국식품과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오뚜기함태호재단 박기문 이사와 오뚜기 함태호 학상을 수상한 고려대학교 한재준 교수(오른쪽) 나란히 포즈를 취하고 있다. (제공=오뚜기함태호재단) 재단법인 오뚜기함태호재단(이사장 함영준)가 2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한국식품과학회(회장 박영서)와 공동으로 ‘제31회 오뚜기 함태호 학술상 시상식’을 개최했다. 수상자는 압출성형 기술을 활용한 식품 제조, 식물성 소재 기반 미래 식품 개발 등 다양한 식품 가공 기술 연구 및 친환경 바이오플라스틱 개발, 나노기술 기반 포장 및 코팅 기술 등 포장 분야에서 산학연 연계를 이끄는 뛰어난 리더십으로 식품산업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고려대학교 식품공학과 한재준 교수가 선정됐다. 한 교수는 식품 가공 및 포장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최근 15년 동안 학술지 논문 81편(국제 SCI(E)급 학술지: 73편), 특허 11건, 3편의 저서 등의 연구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오뚜기함태호재단은 한 교수에게 상패와 부상으로 3000만 원을 수여했다. 한편 오뚜기함태호재단은 지난 2009년 오뚜기 함태호 학술상을 제정해 식품산업 발전과 인류식생활 향상에 기여한 공로가 큰 식품 관련 교수와 식품 관련 연구원들에게 매년 ‘오뚜기 함태호 학술상’을 시상하고 있다. 2024년까지 총 30명이 수상했다. 출처 : 식품음료신문(http://www.thinkfood.co.kr)
2025.07.10 2025년 한국식품과학회 학술대상 수상, 고려대 식품공학과 이광원 교수
2025 한국식품과학회 학술대상 수상, 고려대 식품공학과 이광원 교수 이광원 고려대 식품공학과 교수가 7월 3일 광주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한국식품과학회에서 학술대상을 수상했다. 식품과학회 학술대상은 매년 한국식품과학회(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KOSFST)에서 수여하는 상으로, 식품과학 분야에서 우수한 연구 성과를 낸 연구자에게 주어진다. 이 교수는 식품 생화학 및 독성학 연구영역의 지속적 수행으로 창출한 성과와 식품안전에 관한 공로를 인정받아 학술대상을 수상했다.
2025.06.12 식품공학과 한재준 교수(연구책임자), 2025년 글로벌 기초연구실 지원 사업 선정
2025년 글로벌 기초연구실 선정…탄소나노점 합성의 정밀제어를 위한 집단연구 시동 고려대학교 식품공학과 한재준 교수(식품가공공정연구실), 손홍석 교수(발효식품학연구실) 이민혁 교수(식품소재공학연구실),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장윤지 교수 연구팀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의 2025년도 글로벌 기초연구실(BRL) 지원 사업(연구책임자 한재준 교수, 총 연구비 15억원)에 최종 선정되었다. 탄소나노점(Carbon nanodots)은 광학적, 전기적, 화학적 특성 덕분에 바이오 이미징, 센서, 촉매제, 의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소재로 연구팀은 ‘AI 모델링 기반 다기능 탄소나노점의 맞춤형 활용 기술 개발’이라는 주제로 3년간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연구팀은 AI 기반 특성 예측 모델링을 통해 탄소나노점 합성 조건을 정밀 제어함으로써, 균일하고 재현성 높은 탄소나노점 표준화 합성 기술을 구축하고, 용도에 따른 맞춤형 기능성 탄소나노점을 개발할 계획이다. 주요 과제는 △탄소나노점 합성 표준화 공정 설계(한재준 교수) △표면 도핑·개질을 통한 고기능성 CD 제작 및 식품 포장 응용(이민혁 교수) △AI 예측 알고리즘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손홍석 교수) △항균 특성·안전성 검증(장윤지 교수)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UC Davis와 캐나다 INRS와의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글로벌 연구 역량을 강화한다. 이 연구과제는 기초연구로 그치지 않고 ▲고부가가치 다기능성 식품 패키징 소재 ▲소변 질환 바이오마커 센서 ▲생리활성물질 표적화 전달 시스템 ▲ 세균 특이적 항균 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실용화를 목표로 한다.
2025.04.24 구강모 교수(생명공학부), ‘2024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및 과기정통부 장관 유공 표창
고려대학교 구강모 교수, ‘2024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및 과기정통부 장관 유공 표창 참외의 갈변억제 기작 연구 및 수출기술 개발을 통한 농산물 수출 경쟁력 강화에 기여 ▲ 생명공학부 구강모 교수 고려대학교는 생명과학대학 생명공학부 구강모 부교수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2024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공동연구진으로 선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국가연구개발 유공자로서 장관 표창을 수상 (4월 21일)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선정은 국가연구개발에 있어 탁월한 성과를 낸 연구자에게 수여되는 것으로, 구강모 교수는 ‘참외 갈변 억제 기작 및 농산물 선박 수출기술 개발 연구’를 통해 농산물 수출산업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았다. 구 교수의 연구는 동남아시아 등지로의 참외 해상수출 시 발생하는 저장 중 갈변 및 품질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학적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저장 및 수출중 참외의 품질 저하와 관련된 생리적 지표를 대사체 수준에서 정밀 분석하고, 이를 통해 품질저하를 억제하는 포장지 선발 및 열수처리 등 수출기술을 개발에 기여하였다. 이 기술은 참외처럼 우리나라에서 주로 생산·소비되는 대표적인 한국 채소를 대상으로, 세계 최초로 과골 갈변 억제 메커니즘을 대사체학적으로 규명하고 과학적 데이터를 제시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 향후 국산 농산물의 장거리 해상 수출 확대와 수출 농가의 실질적인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구강모 교수는 “이번 성과는 선박수출을 통한 한국 농산물의 지속 가능한 수출 시스템을 구축하고, 고부가가치 유통 모델을 정착시키는 데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도 국산 농산물의 품질 유지 및 수출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연구와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식물생명공학과 BK21 교육사업팀과 연계하여 산업 현장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인재 양성에도 힘쓰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관련 고대뉴스 링크] 보도자료 - 구강모 교수, 세계 최초 참외 갈변 억제 기술 개발 https://www.korea.ac.kr/bbs/ko/42/120719/artclView.do?layout=unknown
더보기

Announcement

더보기

BK21플러스+ 생명과학대학 BK21 Plus 사업단 구성

    ku 4단계 bk21 환경생태공학교육연구단 글로벌 창의인재 양성팀 4단계 BK21 식물생명공학교육연구팀

연구소 사업단 및 지원시설

생명과학대학